
창병모, 리눅스 프로그래밍 원리와 실제(생능출판, 2022) 7.1 파일 잠금 파일 및 레코드 잠금의 필요성 - 여러 프로세스가 하나의 파일에 동시에 접근할 때 문제점 - ex) 수정하는 순서에 따라 데이터 바뀜 ➡ 한 프로세스가 파일의 일부 혹은 전체 영역을 읽거나 수정할 때 다른 프로세스의 접근을 제한하기 위해 그 영역에 잠금(lock)을 하는 것 - 접근하는 프로세스 A가 대상 레코드에 잠금을 하는 경우 - 수행 후 프로세스 B가 대상 레코드를 접근하려고 하면 해당 레코드는 이미 잠금 상태이기 때문에 프로세스 A가 잠금을 풀 때까지 기다려야 함 Q. 파일 전체에 대해 잠금을 하지 않고 레코드 잠금을 하는 이유 - 많은 사용자들이 동시에 접근해 하나의 파일을 조작해야 하는경우, 파일 전체를 잠금하면 ..
❄️ Sookmyung/💾 Linux 2022. 4. 25. 03:28